티스토리 뷰
2018년 11월 19일 (월) 시장종합/마감시황
(국내 증시를 전반적인 시각으로 파악 및 분석)
1. 코스피시장
- 오늘의 코스피시장 파악
- 오늘의 특징 섹터 및 주요 종목 파악
2. 코스닥시장
- 오늘의 코스닥시장 파악
- 오늘의 특징 섹터 및 주요 종목 파악
3. 시장종합
- 코스피/코스닥시장의 일봉, 분봉을 통한 기술적 파악
- 당일추이를 통한 개인, 외국인, 기관 수급 파악
4. 특징 섹터/종목
- 금일 시장의 특징 섹터 및 특징 종목 파악(재료 위주)
5. 장중 주요 공시
- 장중에 있었던 종목 별 주요 공시
6.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 주, 급락주)
- 오늘의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주, 급락주) 파악
7. 내일의 이슈&섹터 스케줄
코스피시장 KOSPI 2,100.56P(+8.16P/+0.39%)
기관 순매수에 사흘째 상승.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기대감과 엔비디아 급락 등이 엇갈리며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브렉시트 불확실성 속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美·中 무역분쟁 완화 기대감 속에 기관이 6거래일 연속 순매수에 나서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이 5 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하면서 지수의 상승폭은 제한.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동반 상승.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1원 오른 1,128.6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이 1,623억 순매수를 기록한 반면,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926억, 60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374계약, 253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64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등락이 엇갈림. SK이노베이션(+3.05%), 삼성에스디에스(+2.98%), SK(+2.38%), 셀트리온(+2.23%), LG생활건강(+2.00%), LG화학,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등이 상승.
반면, 한국전력(-2.15%), 현대차(-1.46%), 현대모비스(-1.29%), 삼성전자, SK하이닉스, SK텔레콤, 신한지주, KB 금융, NAVER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비금속광물(+2.89%), 건설(+2.42%), 의약품, 기계, 유통, 종이/목재, 의료정밀, 철강/금속, 증권, 서비스, 화학, 금융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1.19%), 보험, 운수창고, 통신, 은행, 전기/전자, 운수장비 업종은 하락.
코스닥시장 KOSDAQ 702.13P(+11.95P/+1.73%)
외국인 순매수에 5거래일째 상승, 700선 상회.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과 엔비디아 급락 등이 엇갈리며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기관이 14거래일 연속 순매도에 나섰으나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를 기록한 가운데,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株들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471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83억, 9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코오롱티슈진(+18.24%)이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 체결 속 급등했고, 셀트리온제약(+8.41%), 셀트리온헬스케어(+6.75%)는 에이즈 개량신약 美 FDA 승인 속에 동반 강세. 이 외에도 바이로메드(+5.93%), 신라젠(+5.72%), 컴투스(+5.44%), 휴젤(+5.04%), 에이치엘비, 제넥신, 서울반도체, 메디톡스, CJ ENM 등이 상승.
반면, 에스에프에이(-1.20%), 스튜디오드래곤(-1.01%), 펄어비스, 파라다이스, SK머티리얼즈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유통(+4.48%), 기타서비스(+3.95%), 기타서비스(+3.39%), 인터넷(+3.24%), 제약(+3.04%), 디지털컨텐츠, 운송장비/부품, IT S/W & SVC, 의료/정밀기기, 제조, 금융, 소프트웨어, 운송, 금속, 컴퓨터서비스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오락문화(-0.02%) 등 일부 업종만이 하락.
시장종합
1) 코스피 일봉차트
2) 코스피 분봉차트
3) 코스피 당일추이
4) 코스닥 일봉차트
5) 코스닥 분봉차트
6) 코스닥 당일추이
특징 섹터/종목
- 섹터
대북관련주 : 韓/美 북핵 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상승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9일부터 21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스티븐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만나 韓/美 북핵 수석대표 회담을 가질 예정. 회담에서는 남북이 추진하는 북한 철도 공동조사 및 착공식 관련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현대그룹과 北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가 지난 18일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를금강산 현지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가운데, 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국영지앤엠, 에코마이스터, 한일현대시멘트, 현대엘리베이 등 대북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핀테크(FinTech) :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보유 허용 추진 기대감에 상승
이낙연 총리는 지난 16일 은행장들과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핀테크기업 보유를 허용해달라'는 은행장의 요구에 대해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보유 필요성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밝힘. 이어 이 총리는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에 해당 사안에 대해 검토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시큐브, 브리지텍, 한국전자인증, 라온시큐어, 서울전자통신 등 핀테크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기록.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 G-star 2018 역대 최대 규모 기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G-star 2018(부산 벡스코, 11/15~18)에는 36개국 689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총 부스 수는 전년대비 3.8% 증가한 2,966개(BTC 1,758개, BTB 1,208개)를 기록, 관람객 수는 23.5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2017년 22.5만명)했다고 밝힘.
아울러 개인 방송 플랫폼 아프리카TV는 처음으로 지스타에 참가해 스타크래프트, LoL 등 다양한 e스포츠 대회를 개최했으며, e스포츠가 유저 이탈을 막고 라이프사이클을 늘리는 마케팅 수단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액션스퀘어, 네오위즈, 게임빌, 컴투스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관련주들이 상승했으며, 아프리카TV 역시 소폭 상승세를 기록.
- 종목
제일파마홀딩스(+10.74%) : 최대주주 지분율 증가 소식에 급등
동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최대주주와 특별관계자인 한승수 외 2인이 자사주 9,788,789주(29.59%)를 공개매수해 보유 지분율이 기존 43.53%에서 73.12%로 증가했다고 밝힘.
한편, 제일약품은 기명식 보통주식공개매수로 최대주주가 한승수외6인에서 제일파마홀딩스(주)외6인으로 변경됐다고 공시. 변경 후 최대주주등 제일파마홀딩스(주)외6인의 지분 소유비율은 62.62%임.
디와이파워(+5.15%) : 인도법인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019년 매출액은 4,436억 원(YoY, +12.6%), 영업이익은 500억 원(YoY, +17.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인도법인의 성장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인도법인의 신규고객사 확보또는 고객사내 점유율 확대라는 이벤트 발생시 추가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신세계인터내셔날(+4.73%) : 해외패션 및 화장품 사업부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메리츠종금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다양한 개성을 추구하고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사의 해외패션 및 화장품 사업부의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밝힘. 특히 화장품은 패션 대비 이익률이 월등히 높아 화장품 비중 확대에 따른 전사적인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향후 해외패션은 유명 브랜드들과의 우호적인 파트너쉽을 바탕으로 매년 신규 브랜드들을 도입, 확장해가면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
BGF리테일(+4.72%) : 내년 실적 개선 전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 2,629억 원(+8.4%yoy), 2,173억 원(+15.2%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영업이익 감소의 주된 원인이 가맹점 상생 지원금 때문이었던 만큼 기저가같아지는 내년에는 다시금 영업이익 증가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목적성 구매라는 특성을 띄는 만큼 온라인 쇼핑 비중확대에도 매출 하락 가능성이 적으며, 늘어나는 1,2인가구들의 소비 패턴에 적합한 유통채널이기 때문에 중장기 성장성에 대해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분석.
코스맥스(+4.28%) : 4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메리츠종금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은 3,361억 원(+50.0% YoY), 영업이익은 133억 원(+108.6% YoY)을 기록해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중국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브랜드들의 폭발적인 주문 증가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2019년 국내법인은 주요 고객사들의 수출 급증으로 높은 외형 성장이 지속될 것이며, 중국법인 또한 온라인 및 모바일 채널 중심의 신규 고객사들의 유입을 통해 높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롯데쇼핑(+4.13%) : 내년 실적 개선 전망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조 7,260억 원(+3.8%yoy), 9,070억 원(+34.1%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그동안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어온 중국 할인점이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됨에 따라 연간 2,500억 규모에 달하던 영업손실이 사라졌으며, 국내 백화점과 할인점의 수익성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
특히, 올해 상반기까지는 어닝쇼크가 지속되며 기저가 낮았던 만큼, 내년 상반기 실적개선 모멘텀이 더욱 강할 것으로 전망.
신세계(+3.94%) : 내년 실적 개선 전망 및 저평가 분석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순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 4,872억 원(+25.2%yoy), 4,320억 원(+2.8%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매출액은 신규 면세점(인천공항 T1, 강남) 효과로 큰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영업이익은 인천 백화점 영업종료(영업이익 약 400억 원 제외), 신규 면세점 초기 영업손실로 인해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 예상되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High Single 수준의 높은 기존점신장률을 보이고 있는 백화점 사업부문만 놓고 보더라도현재 주가는 저평가되어있는 상태며, 연간 순매출액 3조원 이상 규모로 성장한 면세점 가치가 거의 반영되고 있지 못하다고 분석.
대우조선해양(-4.70%) : 내년 실적 감소 전망에 하락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매출액은 7조5,306억 원(YoY -13.3%), 영업이익은 3,358억 원(YoY -55.2%)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감소는 올해 4분기부터 인도되는 선박의 믹스가 바뀌기 때문으로 분석.
특히, 내년에는 상대적으로 저부가 선종인 탱커의 비율이 높아지며, 내년에 인도되는 LNG 캐리어 16척 중에서도 2015년 수주분2척, 2016년 수주분 2척, 2017년 수주분 2척이 섞여있기 때문에 이익 단에서도 올해만큼 호실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
웰바이오텍(-5.06%) :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예고에 하락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동사에 대해 유상증자 결정공시(2018년09월20일) 내용 중 발행금액의 100분의 20 이상의 변경공시(2018년11월13일)에 따른 공시 변경을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지정을 예고한다고 공시.
한진그룹주 : KCGI, 경영권 장악 의도 부인 소식에 하락
이날 한진칼의 2대주주인 KCGI는 공식 입장 발표를 통해 한진칼의 경영권에 대한 위협보다는 주요 주주로서 경영활동에 관한 감시 및 견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특히, 일부 외국계 투기 자본이 요구하는 비합리적 배당정책, 인건비 감소를 위한 인력 구조조정 및 급격한 주가부양을 통한 단기 이익실현을 지양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회사 발전 및 가치 정상화에 따른 직원, 주주, 고객의 이익을 제고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경영권 분쟁 관련 해명 발표 속에 한진칼, 대한항공, 한진, 진에어 등 한진 그룹주의 주가가 동반 하락 마감함.
[종목] : 한진, 대한항공, 한진칼, 진에어
제로투세븐(+30.00%) : 유아크림 '궁중비책' 中 인기 소식에 상한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유아크림 '궁중비책' 제품이 최근 롯데 인터넷 면세점에서 유명 글로벌 화장품을 제치고 월간 베스트 1, 2위(16일 기준)에 나란히 오른 것으로 전해짐. 특히, 롯데면세점은 올해'궁중비책' 매출(1~10월 기준)은 지난해 대비 130% 증가했다고 밝힘.
코오롱그룹주 :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 체결에 급등
코오롱생명과학은 먼디파마(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INVOSSA-K(인보사®-케이주)에대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계약금은 300억 원, 총 기술수출금액은 약 6,677억 원임.
한편, 코오롱티슈진은 코오롱생명과학과의 License Agreement에 따라 상기 총 기술수출금액의 50%를 수취할 예정임.
이에 금일 코오롱생명과학의 주가가 상한가로 마감했으며, 코오롱티슈진과 코오롱의 주가도 급등 마감함.
[종목] : 코오롱,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티슈진
SV인베스트먼트(+25.28%) : 미국 내 펀드 결성 소식에 급등
동사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미국내 펀드 결성 및 운용을 목적으로 SV US Investments GP, LLC지분 60%(6,000,000주)를 67.93억 원에 신규 취득키로 결정했다고 공시. 이는 자기자본대비 13.61% 규모이며, 신주취득예정일자는 2022년11월16일임.
현진소재(+13.89%) : 270억 원 규모 영구 CB 발행에 따른 관리종목 탈피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위플러스 외 2인 대상 270억 원 규모 영구 CB 발행을 결정했다고 정정 공시. 사채의 표면/만기이자율은 각각 0.5%이며, 사채의 만기일은 2028년11월20일임.
동사가 발행하는 이번 CB는 사채권자의 조기상환청구권이 없고 만기일까지 상환되지 않을 경우 만기가 10년씩 자동으로 연장되는 영구 CB이며, IFRS 상 일반 CB와 달리 자본으로 인정되는 신종자본증권임.
한편, 동사 대표는 "이번 영구 CB 발행을 통해 동사는 대규모 자본을 확충하게 돼 이번 사업연도의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내년 3월경에는 관리종목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큐리언트(+10.25%) : 다제내성결핵치료제 美 FDA 신속심사 대상 지정 소식에 급등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현재 임상 2a상을진행 중인 다제내성결핵치료제(telacebec, Q203)가 美 FDA로부터 신속심사 대상에 지정되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동사는 美 FDA와 개발 및 허가에 대해 상시 논의할 수 있으며, 연속심사를 통해 허가 자료를 단계적로 제출할 수 있어 美 FDA의 피드백을 받으며 개발 진행 및 심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됐음.
레고켐바이오(+9.15%) : 항체-활성제 결합체 관련 특허권 취득 등에 급등
동사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항체-활성제 결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관련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 본 특허는 차세대 표적항암제로 주목 받는 항체-약물 결합체(Antibody-Drug Conjugate)와 관련된 특허이며, 이와 관련 동사는 특허를 활용해 여러 적응증을 대상으로 차세대 ADC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특발성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BBT-877에 대한 전 세계 독점실시권을 확보해 개발에 돌입한 브릿지바이오가 美 임상을 위해지난 16일(현지시간) 美 FDA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고 밝힘.
셀트리온그룹주 : 에이즈 개량 신약 美 FDA 판매 승인 획득 소식 등에 상승
금일 셀트리온은 언론을 통해 지난 16일(현지시간) 美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인간면역 결핍바이러스(HIV-1) 감염 치료에 투여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테믹시스정' 판매 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테믹시스는 셀트리온이 개발했으며, 셀트리온제약이 생산할 예정.
한편,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언론을 통해 지난 1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개최된 국제약물경제성평가 및 성과연구학회(ISPOR)에서 바이오시밀러 도입에 따른 유럽 건강보험 재정 절감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종목] :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디앤씨미디어(+7.96%) : 콘텐츠 제작자들의 IP 창구 분석에 강세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늘어나는 콘텐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 공급 능력을 보유했으며, IP 크리에이터와 플랫폼 쌍방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가교 역할과 관련 지속성이 높고 성장성 또한 높다고분석. 아울러 신규 IP가 생산되고 누적되는 창구가 되었으며, 카카오, 네이버 등 메이저 플랫폼들의 신규 콘텐츠 수급과 드라마, 게임 제작사들의 IP 활용 늘면서 지위가 격상될 것으로 전망.
한편, 3분기 실적은 당사 예상치에 부합했으며, 4분기에는 웹툰 작품 늘어나면서 매출액 96억 원(+35.6% y-y), 영업이익 19억 원(+34.5% y-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바이오닉스진(+7.64%) : 정보보안 솔루션 금융권 추가 공급 소식에 강세
동사는 지난 16일 언론을 통해 제1금융권 5곳에 정보보안 솔루션을 추가 공급했다고 밝힘. 한편, 동사는 현재 국내 제1금융권 중 13개의 공급처를 확보해 시장점유율 70% 수준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케이엘넷(+7.50%) : 롯데정보통신과 스마트 항만 구축 MOU 체결 소식에 강세
롯데정보통신은 언론을 통해 동사와 DT(디지털전환) 기술 기반 스마트 항만 구축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해운항만 IT(정보기술) 사업을 공동으로추진하고 물류 분야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예정.
신흥에스이씨(+6.97%) : 19년 하반기 전기차 대량생산 본격화 기대감 등에 강세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대규모 투자로 인해3분기 부진한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주가가 급락했지만 이는 단기적인 현상이라고 밝혔으며, 투자로 인한 이익증가는 2019년 2분기부터 진행될 것으로 전망. 이는 2019년 하반기부터 폭스바겐 등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대량생산 본격화가 진행되기 때문 등으로 분석.
오스템임플란트(+6.04%) :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해외법인의 재고실사와 매출채권 회수 노력으로재무건전성이 개선됐다며, 3분기 실적 또한 영업이익 121억 원(+172.9% YoY)을 기록해 8개 분기만에 100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밝힘. 이에 영업 레버리지 효과 반영 구간으로 구조적 실적 개선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중국 임플란트 시장 침투율은 여전히 15~16% 수준으로 성장여력이 충분하다며, 3분기 지역별 매출액은 중국 224억 원(+10.9% 이하 YoY), 북미 180억 원(+9.5%), 아시아 148억 원(+18.4%), 유럽 78억 원(+20.3%)으로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의 성장세 지속이 확인됐다고 밝힘. 이와 함께 문재인케어 효과로 내년 상반기까지 내수 시장 성장 또한 지속될 것으로 전망.
시너지이노베이션(+5.69%) : 자회사 엠아이텍, 소화기 스텐트 美 FDA 허가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의 자회사인 엠아이텍은 언론을 통해최근 하나로스텐트 대장과 하나로스텐트 십이지장 등 소화기 스텐트 2종에 대한 美 FDA 허가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이에 따라 엠아이텍은 기존 FDA로부터 허가를 받은 3종의 스텐트 제품 외에 추가로 2종의 제품을 승인받아 스텐트 시장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하게 됐음.
한편, 비혈관 스텐트는 소화기관 또는 기관지가 좁아지거나 폐색되는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병변개통을 원활하게 하는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임.
필옵틱스(+5.11%) : 중화권 OLED 수주 본격화 및 삼성SDI 투자확대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KTB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9년 중화권 OLED 수주 본격화 및 삼성SDI의 투자 확대로 인한 노칭 및 조립장비의 수주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스마트폰 디자인이 2018년 Notch형태에서 2019년 Hole형태로 바뀌면서 HAA 기술이 부각되 Laser hole 형성 장비의 수요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에 Laser와 광학기술 기반 장비 전문업체인 동사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메카로(+5.10%) : 28.26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동사는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보통주 180,000 주(28.26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공시. 취득예상기간은 2018년11월20일부터 2019년2월19일까지임.
휴젤(+5.04%) : 모건스탠리, 동사의 지분 보유 소식에 상승
모건스탠리 앤 씨오 인터내셔널 피엘씨는 지난 16일 장 마감후 동사의 지분 5.16%(224,844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 한편, 경영참가목적은 없다고 밝혔음.
크리스탈(+4.66%) : 아셀렉스 2mg캡슐 러시아 공급 및 독점판매권 부여 계약체결에 상승
동사는 팜아티스 인터내셔널(PHARMARTIS INTERNATIONAL, LLC.,)과 COX2- 저해제 '아셀렉스(성분명 : 폴마콕시브)' 2mg캡슐 완제품 수출 관련 러시아 내 공급 및 독점판매권 부여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계약기간은 2018년11월18일부터 러시아 내 제품출시일로부터 10년까지이며, 계약금은 약 1.12억 원, 총 계약금액은약 1,193.46억 원임.
유니슨(+4.63%) :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국책과제 선정에 상승
동사는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국책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공시. 과제명은 해상풍력용 8MW급 직접구동형 영구자석 발전기 개발이며, 총 사업비는 290.76억 원중 정부출연금은 199.40억 원임. 수행기간은 2018년10월1일부터 2022년9월30일까지임.
루미마이크로(+3.72%) : (주)금호에이치티 지분 12.28% 취득 결정에 상승
동사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경영권 참여를 목적으로자동차용 조명부품제조 및 판매업체인 (주)금호에이치티 지분 12.28%(1,200,000주)를 150억 원에 양수키로 결정했다고 공시. 이는 자기자본대비 93.17% 규모이며, 양수예정일자는 2018년12월10일임.
진성티이씨(+3.62%) : 美 인프라투자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 인프라투자가 시작될 경우 미국 소재 건설기계 업체 Caterpillar를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 조지아주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가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는 Caterpillar외에도 두산밥캣, KOBLECO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고객사내 비중 확대 시 추가적인 외형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카페24(+3.50%) : 온라인 및 글로벌시장 성장 기대감에 상승
메리츠종금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동사가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 스몰 브랜드 성장과 함께 높은 외형 성장이 지속할 것으로 밝힘.
아울러 글로벌 인프라 구축 완료에 따른 이익 레버리지 효과 강화가예상되며, 일본 진출 시작 및 중장기 물류/3PL 등 신규 서비스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
아이즈비전(-4.72%) :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에 하락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동사에 대해 유상증자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및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도결정 지연공시에 따른 공시불이행을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지정을 예고한다고 공시. 불성실공시법인지정여부 결정시한은 2018년12월11일임.
에이코넬(-4.97%) : 50억 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하락
동사는 지난 16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주)볼드코퍼레이션을 대상으로 50억 원 규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담보부 사모 전환사채를 발행키로 결정했다고 공시. 사채의 표면이자율 및 만기이자율은각각 7%이며, 사채만기일은 2021년11월16일임.
장중 주요 공시
대신밸런스제5호스팩
시스템반도체 IC의 설계 및 제조, 판매 업체 주식회사 지니틱스를 흡수합병키로결정(합병비율:1대2.5748108, 합병기일: 2019-05-13, 신주상장예정:2019-05-28)
SKC코오롱PI
미니멈 300톤/년 규모 방열 및 모바일용 PI필름 공급계약 체결
S&TC
TR / DAEWOO E&C와 142.22억 원(매출액대비 7.73%) : 규모 공랭식열교환기(Air Cooler) 공급계약 체결
제일약품
최대주주가 한승수외6인에서 제일파마홀딩스(주)외6인로 변경
비즈니스온
주당 234원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18-12-31)
코오롱글로벌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주식회사와 912.96억 원(매출액대비 2.5%) : 규모 태백 가덕산 풍력발전단지조성사업 공사 계약 체결
코세스
3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18-11-19~2019-11-18, 유안타증권)
코오롱생명과학
먼디파마(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INVOSSA-K 기술 수출 계약 체결
코오롱티슈진
계열회사이자 라이센시인 코오롱생명과학㈜이 먼디파마(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INVOSSA-K 기술 수출 계약 체결
큐리언트
다제내성 결핵치료제 Telacebec (Q203) 미국FDA 신속심사(Fast Track) 대상 의약품 지정
제이엔케이히터
(주)이테크건설과 48.50억 원(매출액대비 4.06%) : 규모 Fired Heater 공급 계약 체결
유니슨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국책과제 선정
씨앤지하이테크
나가세엔지니어링 서비스코리아(주)와 42.93억 원(매출액대비 5.7%) : 규모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공급 계약 체결
미창석유
3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18-11-19~2019-11-18, 삼성증권)
유니트론텍
1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18-11-19~2019-05-18, KB증권)
GRT
18년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35.15억(전년동기대비 +12.8%), 영업이익 165.24억(전년동기대비 +1.4%), 순이익 142.54억(전년동기대비 +7.7%)
메카로
180,000주(28.26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18-11-20~2019-02-19)
한국타이어
해명 공시를 통해 인도네시아 멀티스트라다 측과 글로벌 타이어업계 현황 및 상호 협력 방안에 관해 지속적으로 교류해오고 있으나 인수 추진이 진행된 바 없다고 밝힘
크리스탈
아셀렉스 2mg캡슐 러시아 공급 및 독점판매권 부여 계약
케이엠제약
3월말 결산기를 12월말 결산기로 변경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주, 급락주)
- 상승
제로투세븐 : 유아크림 '궁중비책' 中 인기 소식에 상한가
코오롱생명과학 :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 체결에 상한가
액션스퀘어 : G-star 2018 역대 최대 규모 기록 등에 모바일게임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SV인베스트먼트 : 미국 내 펀드 결성 소식에 급등
브리지텍 :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보유 허용 추진 기대감에 핀테크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시큐브 :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보유 허용 추진 기대감에 핀테크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오롱티슈진 :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 체결에 급등
국영지앤엠 : 韓/美북핵 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국보 : 韓/美 북핵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네오위즈 : 모바일게임/게임 관련주 상승 속 '포트나이트' 마케팅 효과 소식에 급등
코오롱 : 코오롱생명과학, 인보사 기술수출 계약 체결에 급등
현진소재 : 270억 원규모 영구 CB 발행에 따른 관리종목 탈피 기대감 등에 급등
우리넷 : 韓/美 북핵 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엔텔스 : 자사주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액토즈소프트 : 모바일게임/게임 관련주 상승 속 LOL 프로게임단 창단 소식에 급등
제일파마홀딩스 : 최대주주 지분율 증가 소식에 급등
서울전자통신 : 금융기관의 핀테크 기업 보유 허용 추진 기대감에 핀테크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오롱머티리얼 : 수소차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일현대시멘트 : 韓/美 북핵 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큐리언트 : 다제내성결핵치료제 美 FDA 신속심사 대상 지정 소식에 급등
와이제이엠게임즈 : G-star 2018 역대 최대 규모 기록 등에 모바일게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코마이스터 : 韓/美 북핵 수석대표 회담 및 금강산 관광 20주년 행사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레고켐바이오 : 항체-활성제 결합체 관련 특허권 취득 등에 급등
시노펙스 : 수소차 관련주 상승 속 급등
금호에이치티 : 루미마이크로, 동사 지분 12.28% 취득 결정 속 급등
- 하락
-
11월 20일 화요일
1. 삼성전자, 빅스비 개발자데이 개최 예정
2.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 투자 서비스출시
3. 조선해양기자재 컨퍼런스 개최
4. 핀테크 컨퍼런스 개최
5. 10월 생산자물가지수
6. 디케이앤디 신규상장 예정
7. 에코캡 공모청약
8. 네오펙트 공모청약
9. 엠아이텍 공모청약
10. 티로보틱스 공모청약
11. 옴니텔 추가상장(유상증자)
12. 이건산업 추가상장(CB전환)
13. 넷마블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14. 디에이테크놀로지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15. 유앤아이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16. 올릭스 추가상장(스톡옵션행사 및 BW행사)
17. 바이오솔루션 보호예수 해제
18. 美) 10월 주택착공, 건축허가( 현지시간)
19. 美) 갭(GAP) 실적발표(현지시간)
20. 美) 타깃(Target) 실적발표(현지시간)
21. 유로존) 유럽연합(EU) 재무장관회의
22. 독일)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23. 영국) 11월 영국산업연맹(CBI) 산업현황보고서(현지시간)
24. 영국) 마크 카니영란은행(BOE) 총재 연설(현지시간)
25. 축구 평가전) 한국 vs 우즈베키스탄
* 개인 공부 목적의 글이며 일부 내용은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발췌함을 밝힙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식 > 시장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11월 20일 (화)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8.11.21 |
---|---|
2018년 11월 20일 (화)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0) | 2018.11.20 |
2018년 11월 19일 (월)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0) | 2018.11.20 |
2018년 11월 16일 (금)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8.11.19 |
2018년 11월 16일 (금) 개장전 주요이슈 점검 (0) | 201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