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9년 1월 14일 (월) 시장종합/마감시황
(국내 증시를 전반적인 시각으로 파악 및 분석)
1. 코스피시장
- 오늘의 코스피시장 파악
- 오늘의 특징 섹터 및 주요 종목 파악
2. 코스닥시장
- 오늘의 코스닥시장 파악
- 오늘의 특징 섹터 및 주요 종목 파악
3. 시장종합
- 코스피/코스닥시장의 일봉, 분봉을 통한 기술적 파악
- 당일추이를 통한 개인, 외국인, 기관 수급 파악
4. 특징 섹터/종목
- 금일 시장의 특징 섹터 및 특징 종목 파악(재료 위주)
5. 장중 주요 공시
- 장중에 있었던 종목 별 주요 공시
6.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 주, 급락주)
- 오늘의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주, 급락주) 파악
7. 내일의 이슈&섹터 스케줄
코스피시장 KOSPI 2,064.52P(-11.05P/-0.53%)
美 셧다운 장기화 우려 속 기관 순매도 등으로 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셧다운 장기화 우려 등으로 소폭 하락했으며, 주요 유럽증시는 브렉시트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美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업무정지) 사태가 3주 넘게 지속되며 역대 최장 기간을 경신한 가운데, 셧다운 장기화 우려가 커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아울러 오는 15일(현지시간)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한 영국 하원 투표가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이에 대한 불확실성도 부담으로 작용. 기관은 1,700억 원 넘게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한편, 일본증시가 성년의 날로 휴장한 가운데, 중국,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증시도 동반 하락.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6.6원 상승한 1,123.0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이 1,785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50억, 949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522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785계약, 1,49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SK하이닉스(-4.61%)가 실적 부진 전망 속에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NAVER(-3.05%), 셀트리온(-2.54%), POSCO(-2.15%), KB금융, 현대차, SK,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현대모비스, 삼성생명, 신한지주 등이 하락.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LG생활건강, SK텔레콤, 삼성에스디에스, 삼성물산, LG화학 등은 상승. 한국전력은 보합.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 철강금속(-1.69%), 전기전자(-1.51%), 의료정밀, 은행, 제조업, 서비스업, 섬유의복, 금융업, 보험, 의약품, 운수장비, 증권, 전기가스업 등이 하락.
반면, 종이목재(+3.48%), 비금속광물(+2.02%), 기계(+1.09%), 건설업(+1.08%), 통신업, 음식료업, 유통업, 화학, 운수창고 업종 등은 상승.
코스닥시장 KOSDAQ 683.09P(-3.24P/-0.47%)
외국인과 기관 동반 순매도 등으로 하락.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셧다운 장기화 우려 속에 소폭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美 셧다운 장기화 우려, 브렉시트 불확실성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3억, 446억 순매도, 개인은 998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컴투스(-4.83%), 에이치엘비(-4.31%), SK머티리얼즈(-4.18%), 코오롱티슈진(-3.96%), 펄어비스(-3.94%), 셀트리온헬스케어(-3.27%), 제넥신(-3.05%), 셀트리온제약(-2.11%), 바이로메드, GS홈쇼핑, 신라젠, 에스에프에이, 포스코켐텍, 메디톡스, 아난티 등이 하락.
반면, CJ ENM, 파라다이스, 스튜디오드래곤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다소 우세. 기타 제조(-1.76%), 유통(-1.65%), 운송장비/부품(-1.55%), 디지털컨텐츠(-1.54%), 인터넷(-1.39%), 제약(-1.25%), 반도체, 의료/정밀 기기, IT S/W & SVC, 기타서비스, 제조, 통신서비스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음식료/담배, 종이/목재, 방송서비스, 금속, 오락/문화, 건설, 정보기기, 운송, 화학, IT 부품 업종 등이 상승.
시장종합
1) 코스피 일봉차트
2) 코스피 분봉차트
3) 코스피 당일추이
4) 코스닥 일봉차트
5) 코스닥 분봉차트
6) 코스닥 당일추이
특징 섹터/종목
- 섹터
황사/미세먼지/마스크/공기청정기 :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에 상승
환경부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총 10개 시·도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서울, 인천, 경기(연천·가평·양평 제외)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힘.
비상저감조치 발령으로 이날 수도권 행정·공공기관 차량 2부제와 서울지역 노후경유차 운행이 제한되며, 경기도와 산림청은 쓰레기 불법소각을 집중적으로 감시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에 대유위니아, 모나리자, 웰크론 등 황사/미세먼지, 마스크, 공기청정기 관련주가 상승 마감.
대북관련주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북측에 다음달 셋째주 베트남에서 2차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한 것으로전해짐. 당초 김정은이 유학했던 스위스 등이 후보로 거론됐지만, 북한이 장거리 이동에 난색을 표해 베트남이 유력 후보지로 떠오른 것으로 알려짐.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은 13일(현지시간) 美 CBS 화상 인터뷰에서 北/美정상이 마주 않는 걸 언제 볼 수 있느냐는질문에 대해 "우리는 세부사항을 도출중"이라고 밝혀, 北/美 2차 정상회담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한편, 지난 11일(현지시간) 일부외신에 따르면, 스티븐 비건 美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미국이 인도적 지원을 위해 대북 제재를 완화하겠다는 뜻을 구호단체에 전달한것으로 전해짐. 또한, 국무부는 구호단체 관계자의 방북 금지를 해제하고, 북한으로 보내는 인도주의 물자를 봉쇄하던 조치도 완화하기로 한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경농, 조비, 한일사료, 재영솔루텍, 남해화학 등 대북관련주들이 상승 마감.
화장품 : 화장품 산업 규모 성장 및 실적 기대감 등으로 일부 관련주 상승
삼성증권은 2018년 4분기 실적 부진을 끝으로 2019년 한국 화장품 산업 규모가 전년대비 13% 증가하며, 43.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 시클리컬한 수요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의 높은 산업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19년에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적어도 시장이 기대하는 수준의 실적을 달성하며 영업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춘절 이후 중국인 단체관광 수요 회복이 기대되고 중국의 수입규제 완화도 긍정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금일 한국콜마,아모레퍼시픽, 에이블씨엔씨 등 일부 화장품 관련주들이 상승 마감.
정치/인맥(황교안) : 황교안 전 총리 자유한국당 입당 소식에 강세
황교안 전 총리는 1월15일 자유한국당에 입당하고, 기자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임. 황 전 총리는 전일페이스북을 통해 "한국당의 변화와 혁신에 힘을 보태고 국민들의 삶을 나아지게 하며 대한민국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 제 모든 것을 다 바쳐노력하겠다"고 밝힘.
황 전 총리가 정치에 복귀하는 것은 지난 2017년 5월 이후 1년 8개월만으로, 자유한국당에서는 황 전 총리의입당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임.
이 같은 소식에 시장에서 정치/인맥(황교안)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는 한창제지, 아세아텍, 인터엠등이 상승 마감.
- 종목
효성첨단소재(+5.31%) : 1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26.6% 증가한 482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주력 제품인 PET 타이어코드의 포뮬러 거래에 따라 판가가 견고한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 원재료인 PET Chip 가격 하락에 따른 마진 개선 등 때문으로 분석.
신세계(+3.47%) : 中 전자상거래법 우려 과도 분석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현재 주가는 中 전자상거래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과도한 우려감이 반영된 상태라고 밝힘.
아울러 향후 중국인 단체 관광객 수요 회복 및 3월 출범 예정인 신세계그룹온라인 법인 지분가치까지 감안할 경우 충분히 저점 매수가 가능한 시점이라고 분석.
두산중공업(+2.94%) : 5,120.08억 원 규모 공사 수주에 소폭 상승
동사는 11일 장 마감 후 베트남 Van Phong Power Company Limited로부터 5,120.08억 원 규모 Van Phong 1 BOT Thermal Power Plant Project EPC Contract 공사를 수주했다고 공시.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3.53% 규모이며 계약기간은 2019년6월1일부터 2023년9월30일까지임.
코오롱글로벌(+2.83%) : 하우스렌털 및 셰어하우스 시장 선도 분석에 소폭 상승
리서치알음은 동사에 대해 자회사를 통한 하우스렌털 및 셰어하우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기업형 하우스렌털 사업자 '코오롱하우스비전'은 지난 12월 역삼동에 72세대 규모의 공유주택 '트리하우스'를 오픈했으며, 고급 쉐어하우스 사업을 운영 중인 '리베토'는 올해 국내 2,000Bed 이상 확보(현 700 Bed) 및 해외시장에서 가시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는 현재 장부가 2,500억 원 규모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며, 영업적인 측면과 별도로 동사의 부동산 가치 부각에 따른 재평가도 기대된다고 설명.
대상(+2.31%) : 4분기 기저효과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8년 4분기 매출액은 7,102억 원(-0.1% YoY), 영업이익은 164억 원(+217.0% YoY, 영업이익률 2.3%)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기저 효과 외에도 식품부문 비용 축소, PT Miwon Indonesia의 전분당 수익성 향상(영업이익 2017년 4분기 1억 원 → 2018년 4분기 40억 원 추정) 등이 실적 개선 요인이라고 밝힘. 또한, 17년4분기 반영되었던 대상베스트코의 일회성비용도 제거되어 순이익은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
대한항공(+2.11%) : 이익 사이클 개선 전망에 소폭 상승
미래에셋대우는 동사에 대해 이익 사이클이 점차 바닥 국면에 진입하고 있고, 비용 부담 완화로 실적 개선 사이클에 진입하는 만큼 장부가 대비 할인을 받을 이유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아울러 중장거리 노선에서의 제한적 경쟁, 비즈니스 수요 개선으로 객단가 호조가 이어지면서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NAVER(-3.05%) : 실적 부진 전망에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신규 사업 확장에 따른 인건비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에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275억 원(-21.8% y-y)을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 2,418억 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최소한 올해 상반기까지 실적 둔화세는 이어질 것이며, 이에 동사의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4% 하락한 9,18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삼성전기(-4.08%) :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 우려에 하락
이베스트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3,017억 원(+182%, YoY/ -25.5%, QoQ)을 기록해 최근 낮아진 시장 기대치 3,245억 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12월 중화권 업체들의 IT부품 수요 감소등 때문으로 분석.
SK하이닉스(-4.61%) : 실적 부진 전망에 하락
메리츠종금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0조원(-13%qoq), 영업이익은 4.8조원(-25%qoq)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12월 반도체 수출 부진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재고조정과 중국 스마트폰의 지속되는 부진 등에 올해 1분기 매출액은 6.7조원, 영업이익은 2.1조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캔서롭(+8.79%) : 자회사 엠제이셀바이오, 기술이전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100% 지분투자로 설립한자회사 엠제이셀바이오는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과 'PA(protective Antigen)를 이용한 CAR-T 개발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밝힘.
엠제이셀바이오는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고형암을 공격할 수 있는 'PA 기반 CAR-T 개발 기술'과 관련된 특허 3건과 관련 노하우 전체를 확보했다며, 이경미 교수 연구팀의 '탄저균 항원에 기반한 CAR-T 기술'은 기존 기술들과 달리 항체 기반이 아닌 변형된 탄저균항원을 이용해 기존 면역세포치료제의 독성은 최소화하고 암 특이적 공격성 및 효능은 극대화했다고 설명.
큐로컴(+7.81%) : 자회사 스마젠, 에이즈백신 임상 2상 기대감 등으로 강세
동사의 자회사 스마젠은 언론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중인 전체사독 에이즈백신(Killed-Whole-HIV Vaccine, SAV001)의 미국 임상 2상 시험을 위한 전초 단계를 곧 마무리한다고 밝힘. 스마젠은 고순도 대량생산 준비를 美 FDA와 협의해 마무리하고 GMP 생산에 돌입할 예정.
이에 대해 스마젠의 관계자는 당초 작년 말까지 시험 백신 생산 완료와 임상계획승인신청(IND) 제출을 계획했으나, 품질과 생산수율을 향상시킨 시험 백신을 가지고 최종 생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생산 공정을 보완한 후 GMP 생산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임상 2상 일정이 다소 지연됐다고 밝힘.
뉴로스(+7.40%) : 수소차향 매출 증가 전망에 강세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항공기 공기 베어링 설계 기술을 활용해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공기 압축기 공급이 본격 확대 되면서 향후 5년 내 현재 동사 연 매출 400~500억의 6~7배 수준의 매출 창출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
아울러 수요 증가 전망에 힘입어 19년 4분기까지 연 1.2만대 수준의 Capa를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최근국가적으로 수소차 육성 계획/의지가 한껏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동사 이외에 관련 핵심부품의 대안이 당분간 없다는 측면 등을 고려하면 2022년 현대차 수소차향 매출은 1200억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분석.
파워로직스(+7.17%) : 호실적 기대감에 강세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2,183억 원(yoy +35.2%),영업이익은 114억 원(yoy +349.7%)을 기록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카메라 모듈 M/S 확대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올해 1분기 매출액은 2,295억 원(yoy +28.9%), 영업이익은 121억 원(yoy +214.6%)을 기록해 분기 최대 실적을 다시 한번 경신할 것으로 전망. 이는 플래그십 카메라 모듈 매출과 신규 보급형 트리플 카메라 모듈 매출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 등으로 분석.
영우디에스피(+6.45%) : 37.60억 원 규모 디스플레이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동사는 TOMEN DEVICES CORPORATION과 37.60억 원 규모디스플레이 장비 공급계약 체결을 공시. 이는 2017년 매출액 대비 1.46% 규모이며, 계약기간은 2019년1월14일부터 2019년5월1일까지임.
피엔티(+5.58%) : 올해 가파른 외형 성장 지속 전망에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에도 지난해에 이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특히, 2차전지 사업 부문은 국내외 배터리 업체들이 2018년 연말 대비 2020년까지 2~3배 이상 대규모 캐파 증설에 들어가면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분석. 아울러 소재 사업 부문은 MLCC와 동박 업체들의 증설에 따라 견조한 수요가 유지되면서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또한, 그 동안의 실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을 직접적인 고객사로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제품 라인업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분석.
네오펙트(+4.44%) : 손 재활 기기 美 특허 등록 소식에 상승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손 재활 기기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의 센서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밝힘.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는 뇌졸중 등 손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이 게임을 통해 손 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재활 기기임.
이에 대해 반호영 대표는 "동사가 CES 2019에 참여하는 등 미국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미국 시장을 중점으로 B2C 재활 기기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특허 출원으로 매출 확대에 기여하려 한다"고 밝힘.
다날(+3.99%) : 英 PG기업 보쿠와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영국 모바일 전자결제 PG기업보쿠(BOKU)와 업무협약을 맺고 신규사업 및 글로벌통합결제 플랫폼 서비스를 본격화한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보쿠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게 됐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해외 간편결제 시장에 글로벌 통합결제 플랫폼을 구축해 해외시장을 공략할 계획.
서진시스템(+3.67%) :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리딩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9년 매출액은 4,246억 원(YoY+25.7%), 영업이익은 448억 원(YoY+35.3%), 당기순이익은 372억 원(YoY+23.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상반기 국내 통신 3사의 투자를 시작으로 일본과 미국의 연이은 5G 투자가 예상되며, 동남아 시장의 4G 투자 역시 지속될 예정이기 때문이라고 분석.
웹젠(+3.49%) : 中 판호 발급 재개에 따른 매출 증가 전망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중국에서 판호 발급이 재개되기 시작하면서 뮤 IP 라이선스 게임 출시 역시 재개될 것으로 전망. 특히, 현재 뮤 IP로 3종의 HTML5 게임과 1종의 모바일게임, 1종의 PC 게임이 판호를 신청해놓은 상태이며, 5종의 게임 모두 중국 개발사가 개발한 내자판호로 신청해놓은 만큼 게임 출시에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중국 IP 라이선스 사업 재개에 따른 불확실성 제거와 이에 따른 라이선스 매출 증가를 감안하여 2019년 EPS를 2.4% 상향 조정함.
제이티(+3.37%) : 15.37억 원 규모 Burn-In Sorter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동사는 지난 11일 장 마감 후 Hitech와 15.37억 원규모 Burn-In Sorter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이는 2017년 매출액대비 4.78% 규모이며, 계약기간은 2019년1월9일부터 2019년3월18일까지임.
글로벌텍스프리(+3.33%) : 중국인 관광객 입국자수 회복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으로 상승
골든브릿지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사드 여파 이후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환급대행업체들의 수익성이 낮아졌으나 18년 2분기 이후 중국인 관광객 입국자수가 월별 기준회복세로 돌아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지난해 12월 케이티스 Tax Refund 사업 양수를 마무리했다며, 사업 양수 효과로 19년1분기부터 영업수익 10억 원 수준의 증가를 예상.
또한, 리베이트 관행으로 국내 여행의 질이 떨어지고 있으나, 리베이트 금지시 가파른 실적개선이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고 설명.
슈프리마(+2.36%) : 美 퀄컴과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인식 알고리즘 공급계약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美 퀄컴과 디스플레이 내장형(언더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알고리즘 바이오사인의 라이센스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의 바이오사인 3.0 은 언더디스플레이 지문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영상의 특성에 최적화돼 고수준의 인식 성능과 속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짐.
러셀(+1.96%) : 49억 원 규모 반도체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동사는 에스케이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와 49억 원 규모의 반도체장비 공급계약(METEL PVD)을 체결했다고 공시. 이는 2017년 매출액 대비 13.57% 규모이며, 계약 기간은 2019년1월11일부터 2019년4 월30일까지임.
펄어비스(-3.94%) :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831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9.0% 감소할 것으로 전망. PC 검은사막은 지난해 4월 컨텐츠 업데이트 이후 이용자 이탈이 지속되어 4분기에도 성수기 효과를 누리지 못했고, 검은사막 모바일 또한, 블소 레볼루션 출시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
아울러 개발인력 충원으로 인건비는 전년동기대비 16.3% 증가하고, CCP 인수 자문 수수료도 동사와 CCP 각각 70억 원씩 발생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54.1% 감소한 277억 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고영(-4.38%) : 지난해 4분기 실적 시장기대치 하회 등에 하락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월11일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99억 원(+8.0% YoY), 104억 원(-12.2% YoY)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매출액 651억 원, 영업이익 142억 원) 대비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중국과 유럽의 투자 연기에 따른 매출 감소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최근 Peer 그룹의 멀티플 하향 조정(기존 PER 27.1배 → 2019년 23.9배)과 전방시장 일부 지역의 투자 연기 등에 따른 프리미엄 조정(기존 30% → 신규 20%) : 등으로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다고 밝힘.
엠아이텍(-4.42%) : 33.48억 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손실 발생에 하락
동사는 지난 11일 장 마감 후 전환사채 주식전환에 따른33.48억 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손실이 발생했다고 공시. 이는 자기자본대비 17.9%규모임.
컴투스(-4.83%) : 신작 스카이랜더스 흥행 부진에 하락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신작 스카이랜더스는 지난 12월 캐나다, 뉴질랜드 등에서 소프트런칭을 시작하였으나, 제한적인 마케팅활동과 소극적인 수익모델 등으로 매출 순위 100위권 이하의 성과를 내고 있다고분석. 특히, 소프트런칭 지역의 흥행 부진을 감안하여 스카이랜더스의 초기 일평균 매출을 기존 3.5억 원에서 3억 원으로 하향조정함.
장중 주요 공시
지엘팜텍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프레가발린서방정(GLA5PR)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내 품목허가 승인 완료
러셀
에스케이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와 49.00억 원(매출액대비 13.57%) : 규모 반도체장비 공급계약(METEL PVD) 체결
골든센츄리
자회사 동방홍(낙양)차륜제조유한공사, 낙양퍼거슨기계장비유한공사와 29.20억 원(매출액대비 6.79%) 규모 휠 공급계약 체결. 자회사 금세기(강소)지능과기유한공사, 서주카이얼농업장비주식유한공사와 29.82억 원(매출액대비 10.21%) 규모 휠 공급계약 체결
영우디에스피
TOMEN DEVICES CORPORATION 과 37.60억 원(매출액대비 1.46%) : 규모 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코오롱생명과학
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149.31억 원(매출액대비 12.6%) : 규모 인보사케이주 공급계약 체결. Mundipharma Medical Company와 40.23억 원(매출액대비 3.4%) : 규모 인보사케이주 공급계약 체결
엘앤케이바이오
골유합장치(Bone Fusion Device) 관련 호주 특허권 취득
피앤이솔루션
EVE Energy Co.Ltd.와 86.15억 원(매출액대비 11.7%) : 규모 2차 전지 충방전장비 공급 계약 체결
제주반도체
2018년 4분기 매출액 365.57억 원(전년동기대비 -2.04%)
텔루스
광학렌즈 및 광학기기 카메라모듈 제조 생산 판매업체 (주)디오스텍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합병비율:1대0, 합병기일: 2019-04-01)
우진플라임
황교안 테마주 관련 해명공시를 통해 대표이사인 김익환사장과 황교안 전총리는 성균관대학교 동문인 것은 사실이나, 그 이상의 아무런 친분관계는 없다고 밝힘
대우조선해양
오세아니아지역 선주와 4,095억 원(매출액대비 3.7%) : 규모 초대형 원유운반선 4척 공사 계약 체결
상한가 및 하한가(급등주, 급락주)
- 상승
토박스코리아 : 스마트스터디 핑크퐁 동요 상어가족 글로벌 흥행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경농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유니온 : 北/美 2 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한창제지 : 황교안 전 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상한가
아세아텍 : 대북관련주 상승 속 황교안 전 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 황교안전 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덱스터 : CJ ENM과향후 전략적 투자 관계 등에 대한 기대감에 급등
대유 : 北/美 2차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본느 : 화장품 산업규모 성장 및 실적 기대감 등에 화장품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국주강 : 北/美 2 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전기술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인터엠 : 황교안 전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국일신동 : 황교안전 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한다는 소식에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조비 : 北/美 2차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라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재영솔루텍 : 北/美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대유위니아 :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에 황사/미세먼지/공기청정기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아시아종묘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일사료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한국내화 : 北/美 2차 정상회담 개최 기대감 등에 대북관련주 상승 속 급등
- 하락
머큐리 : 신규주, 차익실현
에스마크 : 관리종목, 재거래(감자) 2일째
1월 15일 화요일
1.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
2. 文 대통령, 주요 기업 초청 간담회 개최 예정
3. 韓-中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 개최
4.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7. SRT, 설 명절 승차권 예매
8.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예정
9. 금투업계-여당 회동 예정
10. 영국 하원 브렉시트 합의안 승인투표 예정(현지시간)
11. 中 인민은행 지준율 인하
12. 네이버쇼핑, 자급제폰 판매 진출 예정
13. KT 5G 버스 운행 예정
14. 플레이위드, 모바일 RPG "신세계" 출시 예정
15. 키움 히어로즈, 선포식 개최 예정
16. 위너 북미 투어 시작(현지시간)
17. 18년 25차 금통위 의사록 공개
18. 12월 수출입물가지수
19. 아이엠텍 추가상장(유상증자)
20. 데코앤이 추가상장(유상증자)
21. 엔터메이트 추가상장(유상증자)
22. 씨아이테크 추가상장(유상증자)
23. 루미마이크로 추가상장(유상증자)
24. 두산인프라코어 추가상장(BW행사)
25. 핸디소프트 추가상장(CB전환)
26. 금호에이치티 추가상장(BW행사)
27. 에이스테크 추가상장(CB전환)
28. 텔루스 추가상장(CB전환)
29. 스킨앤스킨 추가상장(BW행사)
30. 케이피엠테크 추가상장(CB전환)
31. 포티스 추가상장(CB전환)
32. 세하 보호예수 해제
33. 에이티세미콘 보호예수 해제
34. 이그잭스 보호예수 해제
35. 와이디온라인 보호예수 해제
36. 에스퓨얼셀 보호예수 해제
37. 바른테크놀로지 보호예수 해제
38. 美) 12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39. 美) 1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40.美) 웰스파고 실적발표(현지시간)
41. 美) JP모건체이스 실적발표(현지시간)
42. 美) 델타항공 실적발표(현지시간)
43. 유로존) 11 월 무역수지(현지시간)
44. 독일) 연간 국내총생산(GDP) 예비치(현지시간)
45. 日) 12월 광의통화(M2)
46. 日) 12월 기업도산
47. 日) 12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 개인 공부 목적의 글이며 일부 내용은 인포스탁 홈페이지에서 발췌함을 밝힙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식 > 시장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월 16일 (수)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9.01.17 |
---|---|
2019년 1월 15일 (화)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9.01.16 |
2019년 1월 11일 (금)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9.01.12 |
2019년 1월 10일 (목)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9.01.11 |
2019년 1월 9일 (수) 시장종합/마감시황 (0) | 2019.01.10 |